본문 바로가기
국제정세 및 분쟁

'강한 러시아'를 꿈꾼 푸틴 러시아 대통령 알아보기

by 이슈 분석 2023. 4. 17.

썸네일

불곰, 오토바이, 유도 8단 하면 떠올리는 사람이 있나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입니다. 2000년 러시아 대통령 당선 후 20년 이상을 '강한 러시아' 정책을 펼치며 국제사회에 강자로 재등장하고 싶었던 푸틴 대통령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언제나 희망은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알아보기

2023.04.17 - [국제정세 및 분쟁] - '강한 러시아'를 꿈꾼 푸틴 러시아 대통령 알아보기 2023.04.16 - [국제정세 및 분쟁] - 장기집권에 성공한 중국 시진핑 주석의 향후 활동전망 알아보기 세계 최강대국

issuegabber.tistory.com

 

 

장기집권에 성공한 중국 시진핑 주석의 향후 활동전망 알아보기

2023.04.17 - [국제정세 및 분쟁] - '강한 러시아'를 꿈꾼 푸틴 러시아 대통령 알아보기 2023.04.24 - [국제정세 및 분쟁] - "언제나 희망은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알아보기 중국은 2018년 '시진핑 신

issuegabber.tistory.com

 

1. 푸틴 대통령 출생 및 성장

블라드미르 푸틴은 1952년 10월 7일 러시아의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습니다.

푸틴의 아버지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자원입대하여 전쟁터에서 다리를 다쳤고 독일의 레닌그라드 봉쇄정책시 어머니는 아사직전까지 갔다 살아났으며 푸틴의 첫째 형은 낳자마자 사망했으며 둘째 형도 급성 전염병으로 사망하는 등 매우 어려운 가정환경에서 성장했습니다.

전쟁의 고통을 고스란히 겪은 푸틴 가족사는 당시 러시아인들의 보통의 가정의 모습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푸틴은 레닌그라들에서 자라면서 왜소한 체격 때문에 주변에서 많이 맞기도 했으며 항상 싸움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자라다 보니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운동을 해야겠다는 생각에 유도와 레슬링을 배우면서 체력을 키웠고 공인 유도 8단이라고 합니다. 

푸틴이 결정적으로 KGB가 된 계기는 '방패와 칼'이라는 영화를 보고 영화에서 첩보원 한 명이 수 천명의 사람들의 목숨을 구하는 것을 보고 매료되어 본인도 KGB가 되고 싶었다고 합니다.

 

2. KGB 활동을 통한 푸틴의 정치적 성장

푸틴은 1970년에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 입합해서 법률을 전공했습니다.

고등학교 때 KGB가 되고 싶어서 레닌그라드에 있는 KGB사무소에 찾아가서 어떻게 하면 KGB요원이 될 수 있는지 알아봤는데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면 되는 길이 있다고 알려줘서 대학교도 법학과를 선택했다고 하며 당시에 KGB에 대한 열망이 대단했던 것 같습니다.

푸틴은 대학시절 대학 내에서 활동하는 KGB 요원들의 눈에 띄어 KGB가 될 것을 제안받았고 그렇게 그는 그의 꿈의 직장인 KGB에 합류하게 되었으며 8년간 레닌그라드에서 근무했습니다.

KGB 근무당시 아내와 가족들한테도 어떤 일을 하는지 말하지 않았다고 하며 1996년에 보안기관인 FSB(전 KGB)에 합류하여 조직부대표와 부국장을 역임하면서 경력을 쌓았습니다.

1999년 보리스 옐친 대통령이 사임하면서 대통령 권한 대행으로 급부상했으며 2000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러시아 대통령으로 취임 하게 되었습니다.

 

3. 푸틴의 대통령 취임 후 주요 활동

가. 부패와의 전쟁

정치인들과 결탁한 올리가르히(재벌)들 중 옐친 대통령 지지 세력들의 부패에 대항했고 올리가르히들은 푸틴도 옐친처럼 시간이 지나면 본인들이 통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푸틴은 정치권에 영향을 주는 다수의 재벌들을 횡령혐의로 구속했습니다.

 러시아 최고 석유재벌인 호도르콥스키는 야권 정치인을 후원하다가 사기 및 탈세 혐의로 구속되어 10년의 징역을 살았으며 이후 정치를 안하겠다고 선언하고 영국으로 망명하였습니다.

푸틴은 계속해서 정치관련 재벌들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크렘린의 대부인 세계 최대 에너지 회사 대표인 킹메이커 베레좁스키는 반기를 들다가 영국으로 망명하기도 했습니다.

푸틴은 정치를 멀리 했던 올리가르히들들에 대해서는 탄압하지 않았으며 첼시의 구단주 아브라모비치 같은 경우 살아남기도 했습니다.

나. 헌법 개정을 통한 입지 강화

2000년 대통령 취임후 현재까지 '강한 러시아'를 표방하고 있고 러시아 헌법에 3연임은 금지되어 있어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매드베데프를 대통령으로 앉히고 꼭두각시처럼 정권을 통제했으며 2012년 대통령으로 재취임했고 3연임 관련 헌법을 개정하여 2036년까지 크렘린에 남을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옐친에게 올리가르히가 있었다면 푸틴에게는 실로비키가 있습니다. 실로비키는 주로 KGB 출신들이 많고 푸틴의 고향이자 정치를 시작한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들을 의미합니다.

또한, 소련체제 붕괴 후 연방보안국 FSB는 푸틴 대통령이 직접 통제했으며, 21만 명의 국경수비대 병력도 연방안보국에서 통제토록 하면서 대통령의 권한은 막강하게 되었습니다.

다. 푸틴의 러시아 경제회복 노력

푸틴은 대통령 취임 당시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문제가 최악의 경제문제였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수천 퍼센트를 넘었고 실업률도 9.3% 였으며 러시아 인구 절반이 최저 생계비보다 낮은 돈으로 생활을 해야 했으며 경제 전문가들은 구테타가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하기까지 했습니다.

최악의 경제난 해결을 위해 전략 및 기술분석센터(CAST)를 세우고 러시아의 재래식 무기, 무역, 방위산업, 군사개혁, 군사적 충돌, 국제 방위 동향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실시하는 러시아의 싱크탱크를 만들었고 강한 러시아를 만들기 위한 정책을 구상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그런데 푸틴이 대통령에 취임 후 운이 좋게도 국제시장에서 석유와 천연가스 가격이 폭등하면서 러시아의 경제회복의 계기가 마련되었고 17달러였던 유가가 100달러까지 올라서 2001년부터 2007년까지 러시아의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7%로 고속 성장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경제가 회복되자 푸틴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는 올라갔으며 절대권력의 토대를 만드는 계기가 되었던 것입니다.

라. 군사력 강화

푸틴은 집권이후 강한 러시아를 만들기 위해 러시아군의 재건에 집중합니다. 여유로운 재정을 국방비로 사용했고 사단수를 줄이면서 무기체계를 첨단화했으며 군인들의 훈련을 특화시켰고 군인 급여를 증액했으며, 과학기술을 접목한 군사교육을 강화하였습니다.

러시아군대는 규모면에서 줄어들었지만 효율성 측면에서는 작전 대응을 위한 상시 대응 체제로 변화되었습니다. 푸틴은 국방력 강화와 더불어 핵무기 개발에도 집중했습니다.

푸틴 취임 후 핵 관련 정책을 재정비하고 러시아와 러시아의 동맹국이 핵공격을 받거나 위협을 받을 경우 선제공격이 가능하다고 정책을 수정한 것입니다.

체게트(Cheget)는 핵무기가 탑재된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버튼과 핵 공격 암호 등이 들어 있는 가방으로 러시아 대통령의 핵가방이라고 하며 경호원이 상시 휴대하고 있습니다.

 

4. 푸틴 대통령의 향후 행보 전망

2000년 러시아 대통령 취임한 이후 20여년 이상을 러시아의 통합과 경제회복, 군사력 강화에 중점을 두는 정책을 펼쳐온 푸틴은 중국과 미국이 G2 국가로 국제사회에서 입지가 굳어지는 시점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강한 러시아의 재등장을 알리고 싶었으나 서방권의 지원을 받은 우크라이나가 결사항전으로 맞서면서 전쟁이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미국 중심의 서방권으로부터 역대 최고 강도의 경제제재를 받고 있어 국민들의 삶 또한 피해해지고 있는 상황으로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이제 군사력에 의한 종결은 힘들어졌으며 국제정치적 이해관계 속에서 외교적 해결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고 중국과 미국, 프랑스 등 주변국의 중재를 통한 해결책이 강구되어야 하는 상황이 되고 있습니다.

푸틴은 전쟁을 종결지을 수 있는 전제조건은 경제회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 해제와 우크라이나 지역의 자포리자, 돈네스크, 헤르손 지역 정도를 합병해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그러나 이 또한 쉽지 않은 상황으로 당분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고 시간이 지날수록 푸틴의 러시아내 입지는 어려우질 것으로 예상되고 러시아 국내정치에서 반 푸틴세력들을 중심으로 한 정권에 대한 도전도 눈여겨봐야 할 대목인 것 같습니다.

댓글